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물주는 보험 들었다는데… 임차인도 꼭 화재보험 들어야 할까?

by 오늘의 소상공인 혜택 2025. 8. 5.
반응형

 

“건물주가 화재보험 들었다고 해서, 난 안 들어도 되는 줄 알았어요…”

하지만 실제로 화재가 나고 보니, 내가 설치한 기계, 집기, 자재는 전혀 보장되지 않았습니다.

 

많은 공장 임차인 사장님들이 ‘건물주 보험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지만,

이는 위험한 착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임차인의 보험 필요성과 실제 사례를 통해 임대 공장에서 보험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를 안내해드립니다.

📌 건물주 화재보험, 어디까지 보장되나요?

  • 보장 대상: 건물 외벽, 기초 구조물, 공용 공간 등
  • 보장 범위: 건물 자체의 손상에 한함
  • 임차인이 설치한 기계, 인테리어, 자재는 보장 제외

🚫 실제 사례: 임차인 보험 미가입으로 1억 원 손해

경기 화성 소재 가구공장 – 화재 발생 원인은 누전. 건물 일부와 내부 가구 제작 설비 6대 전소. – 건물주는 화재보험으로 외벽 수리비 5,000만 원 보상 – 임차인 기계·재고·인테리어는 보상 불가 → 임차인이 전액 자비 부담 (약 1억 원)

👉 건물주 보험만 믿고 있다가 실제 피해는 **임차인 몫**으로 남았습니다.

✅ 임차인이 화재보험을 꼭 들어야 하는 이유

  • 내가 설치한 기계, 집기, 재고 자산은 내 책임
  • 인테리어나 설비 손상 시, 원상복구 책임도 임차인에게 있음
  • 화재 원인이 임차인의 작업실수라면 배상 책임까지 발생
  • 👉 이런 위험은 임차인 명의의 화재보험으로만 보장됩니다

🛡️ 임차인이 들어야 할 주요 보장 항목

  1. 기계손해 특약 – 내가 설치한 설비, 기계 보장
  2. 재고자산 보장 – 원자재, 제품, 납품 전 물품 포함
  3. 인테리어 보장 – 칸막이, 바닥 공사, 전기 공사 등
  4. 화재배상책임 특약 – 옆 공장, 인명 피해 보상
  5. 영업손실 보장 – 화재 후 영업 중단 시 매출 손실 보상

🙋 자주 묻는 질문 (Q&A)

Q. 임차인인데, 건물주가 화재보험 들었다면 나는 가입 안 해도 되나요?

아니요. 건물주의 보험은 건물만 보장합니다. 임차인이 설치한 기계나 재고, 인테리어는 임차인 본인의 보험으로만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Q. 월세 공장인데 설비는 제가 넣었어요. 이런 것도 보험으로 되나요?

네. 화재보험 가입 시 계약자(임차인) 명의로 기계 자산을 포함해 가입하면 충분히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설비 가액을 정확히 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참고 링크

📌 마무리하며

공장을 임대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건물주의 보험만 믿지 마세요. 내가 설치한 모든 것, 내가 만든 제품, 내 책임입니다.

오늘이라도 내 자산과 사업을 지킬 수 있는 임차인 전용 화재보험을 점검해보세요.

보험은 ‘언제 쓸 일이 있을지 모르니까’가 아니라 ‘딱 그 순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입니다.

2025.08.05 - [분류 전체보기] - 이 특약 빠지면 보상 못 받습니다! 공장 화재보험 필수 특약 5가지

2025.08.03 - [분류 전체보기] - 생존 키트, 화재·지진·정전 대비 필수 구성품 정리

2025.08.03 - [분류 전체보기] - 화재 발생 시 생존 확률을 높이는 행동 요령 10가지

2025.08.01 - [분류 전체보기] - 화재복구, 24시간 내 대응이 중요한 이유

2025.08.01 - [분류 전체보기] - 소화패치, 진짜 효과 있을까? 화재 예방 사례로 성능 검증!

반응형